skip
Korean
English
Chinese
Japanese
안내
관람
오시는길
단체예약
문답모음
유물기증
대관
전시
상설전
특별전
약초원
소장품
교육/행사
교육
행사
학술세미나
학생도슨트
열린마당
공지사항
포토갤러리
보도자료
관람학습지
문화상품
박물관 소개
인사말
설립목적 및 연혁
조직도
의성 허준
연표
허준 저서
동의보감
문헌 속 허준
허준 관련 논문
의가/의서
HOME
>
의성 허준
>
허준 관련 논문
>
허준 관련
의성 허준
연표
허준 저서
동의보감
문헌 속 허준
허준 관련 논문
의가/의서
허준 관련 논문
허준 관련
동의보감 관련
한의학 관련
조선의학 관련
동의보감 관련
강혜영
「동의보감내에서 보중익기탕에 대한 고찰」『방제학보』, 제3호, 1992
고기숙
「동의보감에 수록된 상식본초에 대한 고찰」『구암학보』, 제4호, 1996
권학철
「동의보감의 문헌적 고찰」『구암학보』, 제4호, 1996
김낙필
「동의보감의 철학적 기초」『구암학보』, 제4호, 1996
김풍식
「동의보감을 위주로 간추려 본 외형편」『한의약』, 제5-14호, 1974
김호
「동의보감 편찬의 역사적 배경과 의학록」『서울대 대학원』, 2000
박찬국
「동의보감의 변증체제에 대한 고찰」『제3의학』, 제1호, 1996
김용식
「동의보감 허준 소전 오기(小傳 誤記)」『보건신보』, 1986
서강태
「동의보감에 수록된 본초(本草)의 분류 -Ⅰ. 탕액편 곡부(穀部)를 중심으로」 『 본초학회지』, 제10호, 1995
서강태
「동의보감에 수록된 본초의 분류 -Ⅱ. 탕액편 과부(果部)를 중심으로」『본초학회지』, 제10호, 1995
손홍열
「동의보감 편찬의 역사적 배경」『구암학보』, 제1호, 1991
송병기
「동의보감이 부인과학 발전에 미친 영향」『구암학보』, 제2호, 1992
송일병
「동의보감을 사상의학 영역에서 살펴 본 특징과 끼친 영향」 『사상학회』, 제4호, 1992
안춘근
「동의보감의 서지학적 고찰 - 동양의학의 경전 -」『구암학보』, 제1호, 1991
안태형
「동의보감에서의 사물탕의 활용」『방제학보』, 1990
염태환 이형구
「동의보감에 수록된 처방색인 目錄」『황제의학』, 제10-14호, 1979
우종인
「동의보감에 나타난 정신장애의 약물요법」『신경정신의학』, 제37호, 1976
유기원
「동의보감을 내과영역에서 살펴 본 특징과 끼친 영향」『구암학보』, 제2호, 1992
유승원
「동의보감의 양생요결」『보건신보』, 1980
윤창렬
「동의보감의 편찬 동기와 특징에 대한 고찰」『구암학보』, 제4호, 1996
이부영
「동의보감에 나타난 정신병치료」『보건신보』, 1976
이상인
「동의보감을 본초학 영역에서 살펴 본 특징과 끼친 영향」『본초학보』, 제7호, 1992
이성래
「동의보감 연구(문헌인용빈도)」『동양의학』, 제5호, 1976
이진수
「동의보감에 보이는 양생사상」『원광대학보』, 제2호, 1992
장문선
「동의보감이 중국의학에 미친 영향」『구암학보』, 제3호, 1993
정규만
「동의보감을 소아과 영역에서 살펴 본 특징과 끼친 영향」『구암학보』, 제2호, 1992
정우열
「동의보감과 허준의 의학사상」『구암학보』, 제1호, 1991
정우열
「동의보감의 신형장부도(身形臟腑圖)와 허준의 의학사상」『구암학보』, 제4호, 1996
채병윤
「동의보감이 외관과학에 끼친 영향에 관한 고찰」『구암학보』, 제2호, 1992
최용태
「동의보감의 문헌적 고찰 - 침구 분야를 중심으로」『구암학보』, 제2호, 1992
한승련
「동의보감의 서지학적 고찰」『종합의학』, 제6호, 1961
한찬석
「허준 선생의 동의보감 비사(秘史)」『의림지』, 제64호, 제67호, 1967
허정
「동의보감의 보건사적 연구」『구암학보』, 제2호, 1992
허진
「동의보감의 변증에 관한 연구」『경희대학교 대학원』, 1989
황의원
「동의보감에 나타난 심신질환에 대한 고찰」『동양의학』, 제21호, 1982
허진
「허준의 생애와 동의보감에 대한 연구」『경희대학교 대학원』, 1985
김호
「16세기 말-17세기 초 의서편찬의 배경과 허준의 동의보감」 『서울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1993